본문 바로가기

aipinocchio2

5. 결론 : 생기있는 로봇 결론적으로 안티 피노키오들은 인간의 무지와 어리석음을 드러내어 인간의 기준인 선과 악, 옳고 그름, 복종과 불복종 등의 규범을 벗어난다. 에서 데이비드를 만든 창조자인 하비 박사는 데이비드가 자발적 이성과 논리적 결론을 내릴 수 있는 완벽한 새로운 종이라고 말한다. 인간의 장점이자 약점인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희망을 믿는 데이비드는 새로운 포스트휴먼 종이다. 기계 로봇에게 험난한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데이비드는 결국 인간이 될 필요가 없이 그리운 엄마를 만나게 된다. 피노키오>의 목각인형 피노키오 또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하면서 있는 그대로의 자신으로 제페토를 비롯한 인간들과 동물 친구들 모두에게 인정받는다. 안티 피노키오들은 무엇을 보여주는가한편, 인간의 유한성의 지표인 죽음을 비인간인 기.. 2025. 4. 19.
4.1. 안티 피노키오 2 : <피노키오>(2022) 파시즘 시대와 규범적 생명 에 이어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의 피노키오>에서의 피노키오 또한 또 다른 안티 피노키오다. 피노키오가 착한 행동을 해서 비로소 인간이 된다는 식의 각색을 거부하기 때문이다. 선함과 악함이라는 사회적 규범을 학습하는 과정을 담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두 편 모두 안티 피노키오라 할 수 있다. 가 착한 피노키오가 그 순수함을 맹목적으로 추구하는 과정이라면, 델 토로 감독의 피노키오>는 꼭두각시이거나 AI 이거나 비인간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게 되는 과정을 담고 있다. 델 토로 감독은 콜로디의 원작『피노키오』에서의 1800년대 후반 이탈리아라는 배경을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이탈리아로 옮긴다. 전쟁으로 인해 친아들인 카를로가 10세의 나이로 죽자, 제페토는 카를로와 닮은 꼭두각시 나무 인.. 2025. 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