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

<에밀리아 페레즈> - 자크 오디아르 영화의 ‘폭력’ 이라는 문제 에밀리아 페레즈>는 트랜스 젠더 배우인 카를라 소피아 가스콘이 주연으로 나와 화제가 된 영화다. 뮤지컬, 범죄, 스릴러라는 낯선 장르들이 혼합된 이 작품은 각종 국제영화제에서 최다 부문 수상 후보에 오르며 이례적인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성전환 이후의 정체성 영화는 멕시코 마약 범죄 조직의 마초적인 두목 델 몬테(카를라 소피아 가스콘)의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델 몬테의 소원은 여자가 되는 것. 그는 변호사 리타(조이 살다나)를 고용해 성전환 수술을 비밀리에 준비하고, 아내인 제시(살레나 고메즈)와 두 아들을 포함한 가족과 세상 사람들 앞에서 ‘죽은’ 남성인 델 몬테를 뒤로한 채, 여성인 에밀리아 페레즈로 새 삶을 시작한다. 성전환 수술이 끝난 후 4년이 지나자 페레즈는 자식들과 함께 살고 싶어 리타를.. 2025. 4. 24.
[테드 창 번역] 테드 창의 논의에 대한 ChatGPT 의 반론 (3/3) ● 이 글은 「당신 인생의 이야기」의 작가인 테드 창(Ted Chiang)이 《뉴요커》에 기고한 에세이인 '왜 A.I.는 예술을 만들 수 없는가?'(Why A.I. can't Make Art?, The New Yorker, 2024. 08. 31.) 를 번역한 글입니다. ● 번역은 총 3회로 진행될 예정이며, 순서는1. 왜 A.I.는 예술을 만들 수 없는가? ①2. 왜 A.I.는 예술을 만들 수 없는가? ② 3. 테드 창의 논의에 대한 ChatGPT 의 반론으로 진행됩니다. ChatGPT의 테드 창의 주장에 대한 비판적 반론은 1. “A.I.는 감정과 의도가 없으므로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반론: 의도와 감정이 없는 존재도 기능적으로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언어는 오직 ‘내면의 의도’를 전달.. 2025. 4. 22.
[테드 창 번역]-왜 A.I.는 예술을 만들 수 없는가(2/3): 예술의 의미 ● 이 글은 「당신 인생의 이야기」의 작가인 테드 창(Ted Chiang)이 《뉴요커》에 기고한 에세이인 '왜 A.I.는 예술을 만들 수 없는가?'(Why A.I. can't Make Art?, The New Yorker, 2024. 08. 31.) 를 번역한 글입니다. ● 번역은 총 3회로 진행될 예정이며, 순서는1. 왜 A.I.는 예술을 만들 수 없는가? ①2. 왜 A.I.는 예술을 만들 수 없는가? ② 3. 테드 창의 논의에 대한 ChatGPT 의 반론으로 진행됩니다. ※ 본 번역은 비상업적 목적의 연구 및 아카이브용으로 제작되었습니다. 2019년, 연구자들은 쥐에게 운전을 가르치는 실험을 수행했다. 그들은 작은 플라스틱 용기에 구리선 세 개로 만든 조종 장치를 설치했고, 쥐가 특정 선에 앞 발을.. 2025. 4. 22.
[테드 창 번역] - 왜 A.I.는 예술을 만들 수 없는가(1/3): A.I.와 창작 ● 이 글은 「당신 인생의 이야기」의 작가인 테드 창(Ted Chiang)이 《뉴요커》에 기고한 에세이인 '왜 A.I.는 예술을 만들 수 없는가?'(Why A.I. can't Make Art?, The New Yorker, 2024. 08. 31.) 를 번역한 글입니다. ● 번역은 총 3회로 진행될 예정이며, 순서는 1. 왜 A.I.는 예술을 만들 수 없는가? ① 2. 왜 A.I.는 예술을 만들 수 없는가? ② 3. 테드 창의 논의에 대한 ChatGPT 의 반론으로 진행됩니다. ※ 본 번역은 비상업적 목적의 연구 및 아카이브용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왜 A.I.는 예술을 만들 수 없는가? 소설이나 회화를 창작하기 위해, 예술가는 인공지능에게는 본질적으로 낯선 방식의 선택을 해야 한다.1953년, 로알드 달.. 2025. 4. 22.
5. 결론 : 생기있는 로봇 결론적으로 안티 피노키오들은 인간의 무지와 어리석음을 드러내어 인간의 기준인 선과 악, 옳고 그름, 복종과 불복종 등의 규범을 벗어난다. 에서 데이비드를 만든 창조자인 하비 박사는 데이비드가 자발적 이성과 논리적 결론을 내릴 수 있는 완벽한 새로운 종이라고 말한다. 인간의 장점이자 약점인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희망을 믿는 데이비드는 새로운 포스트휴먼 종이다. 기계 로봇에게 험난한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데이비드는 결국 인간이 될 필요가 없이 그리운 엄마를 만나게 된다. 피노키오>의 목각인형 피노키오 또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하면서 있는 그대로의 자신으로 제페토를 비롯한 인간들과 동물 친구들 모두에게 인정받는다. 안티 피노키오들은 무엇을 보여주는가한편, 인간의 유한성의 지표인 죽음을 비인간인 기.. 2025. 4. 19.
4.2. 안티 피노키오 2 : 어린이 기계 혹은 아이 로봇이 말하는 것 케서린 헤일스(Katherine Hayles)는 천방지축인 아이들 조차도 일탈적이거나 어떤 규범을 벗어난 행동을 하면 거짓말을 해서라도 자기가 어긋나지 않았다는 자기 합리화 서사를 만들어 규범을 지키려 한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면서 헤일스는 로봇과 같은 비인간의 서사가 아이들의 이러한 규범적 서사를 넘어설 수 있는지를 질문한 바 있다.(14) 델 토로 감독의 피노키오에게 예상치 못한 행동이나 일탈적인 행동은 살아가는 데에 필요한 경험(데이터)일 뿐이다. 그렇기에 아이들에게 발견되는 복종적인 규범의 내러티브가 요구되지 않는다. 더 나아가 시대의 주류에 편승한 파시즘에 순종하는 어른들의 규범에도 복종하지 않는 어린이 기계가 될 수 있는 것이다.(15) AI를 포함한 비인간은 머신 러닝 등의 반복 학습과 업.. 2025. 4. 19.
4.1. 안티 피노키오 2 : <피노키오>(2022) 파시즘 시대와 규범적 생명 에 이어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의 피노키오>에서의 피노키오 또한 또 다른 안티 피노키오다. 피노키오가 착한 행동을 해서 비로소 인간이 된다는 식의 각색을 거부하기 때문이다. 선함과 악함이라는 사회적 규범을 학습하는 과정을 담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두 편 모두 안티 피노키오라 할 수 있다. 가 착한 피노키오가 그 순수함을 맹목적으로 추구하는 과정이라면, 델 토로 감독의 피노키오>는 꼭두각시이거나 AI 이거나 비인간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게 되는 과정을 담고 있다. 델 토로 감독은 콜로디의 원작『피노키오』에서의 1800년대 후반 이탈리아라는 배경을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이탈리아로 옮긴다. 전쟁으로 인해 친아들인 카를로가 10세의 나이로 죽자, 제페토는 카를로와 닮은 꼭두각시 나무 인.. 2025. 4. 19.
3.2. 안티 피노키오 1 : <A.I.>(2002) 마음을 가진 기계 에서 AI 피노키오인 데이비드(헤일리 조엘 오스먼드)는 콜로디의 『피노키오』에서 피노키오와는 정반대로 어른들의 말에 정확히는 창조자의 말에 지나치게 순응하는 AI 로봇이다. 는 온실 효과로 인해 이상 기후와 굶주림이 발생한 디스토피아 지구에서 시작한다. 그곳에서 인간들은 먹지 않고 자원도 소비하지 않는 로봇을 만들어 지구에서의 인간의 생존을 도모한다. 데이비드는 로봇 생산기업인 사이버트로닉스사가 최초로 개발한 로봇 차일드로서 데이비드는 부모를 영원히 사랑하도록 프로그래밍이 되어 있다. 콜로디의 『피노키오』가 앞에서 살펴본 대로 어른들의 말에 순응하는 아이가 인간의 기준이라면, 데이비드는 이미 인간 아이이다. 그러나 AI 피노키오인 데이비드는 유기체가 아니기 때문에 다시 한번 인류학적 기.. 2025. 4. 19.
<콘클라베> - 관리자형 리더와 포용적 리더 속세에서 치뤄야 할 성스러운 의식, 콘클라베 한 신부가 재촉하듯 빠른 걸음으로 어딘가를 향하고 있다. 자동차가 질주하는 터널과 어두운 거리를 지나 도착한 곳은 교황이 선종(善終)한 바티칸 성당이다. 관객은 이 불안한 걸음의 주인공이 바티칸의 수석 추기경인 로렌스(랄프 파인즈)임을 곧 알게 된다. 교황의 유해(遺骸)는 산타 마르타의 집으로 옮겨지고, 교황의 방은 봉쇄된다. 수석 추기경 로렌스는 다음 교황 선출을 위한 콘클라베 준비를 위해 시스티나 성당의 보수 공사를 한다. 세계 각국의 추기경이 집결해, 총 3일에 걸쳐 여덟 번의 투표 끝에 새로운 교황이 선출된다. 영화 콘클라베>(conclave, 2024)는 표면적으로는 교황 선출 과정을 다룬 극영화지만, 그 이면에는 오늘날 종교가 직면한 문제와, 종교.. 2025. 4. 19.
3.1. 안티 피노키오 1 : 아감벤의 '인류학적 기계'  아감벤의 '인류학적 기계' 디즈니 애니메이션은 원작『피노키오』에 가장 충실한 동화로 만들어 냈지만, 『피노키오』는 지금까지 다양한 해석을 낳은 작품이기도 하다. 대표적으로 아감벤은 『피노키오』의 결말에서 보여주는 인간으로의 통합은 완벽하게 성공하지 못했다고 결론을 내린 바 있다. 그는 카를로 콜로디의『피노키오』는 ‘인류학적 기계’가 비활성화되고 정지된 동화라고 읽은 바 있다. 여기에서 ‘인류학적 기계’는 인간과 비인간(특히 동물)의 차이를 통해 인간을 정의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 기계 장치는 존재 본연에 내재해 있는 비합리적 동물성을 억누르며 인간(이성과 언어를 지닌 존재)을 정의한다. 그런데 꼭두각시 인형 동화(『피노키오』)에서는 잘 작동하던 이 인류학적 기계가 매번 방해받고 가로막힌다.(4) 아감벤은.. 2025. 4. 18.
2. 피노키오의 모험 - 어느 꼭두각시의 이야기 카를로 콜로디가 저술한 동화『피노키오의 모험. 어느 꼭두각시 이야기』(Le avventure di Pinocchio)는 1883년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출간되었다. (1) 2019년을 기준으로 260개 이상의 언어와 방언으로 번역됐고, 수많은 연극과 영화, 뮤지컬로 각색되었다.(2) 피노키오는 꼭두각시 나무 인형이 ‘진짜’ 소년이 되어가는 모험을 그린 동화이다. 어느 꼭두각시 이야기주요 등장인물로는 나무토막을 깎아서 피노키오라는 이름을 지어주는 제페토, 제페토의 집에서 백 년을 사는 말하는 귀뚜라미, 파란 머리 소녀에서 파란색의 예쁜 새끼염소까지 다양하게 변신하면서 등장하는 요정, 피노키오가 가진 금화를 뺏으려는 다리를 저는 여우와 앞을 볼 수 없는 고양이 등이 반복해서 등장하면서 이야기의 뼈대를 구성하.. 2025. 4. 18.
1. 서론: 피노키오는 왜 다시 등장하는가? 는 1) 유기체와 비유기체, 인간, 비인간, 기계 등의 차이, 대립, 관계에 대한 대중적 인식의 변화를 2) 인간중심주의적 개념을 해체하는 ‘생기 vitality’ 라는 포스트휴먼 개념을 중심으로 3) 시대에 걸쳐 거듭 재탄생하고 있다. 이 글은 인간을 중심으로 한 이전의 개념을 를 중심으로 포스트휴먼의 맥락에서 해체하고 재배치하려고 시도하는 데에 있다. 과학기술, 영화, 소설 간의 교차점에서 대중들은 를 통해 새로운 어떤 것에 대한 인식이 발생하고, 기술에 대한 사회적 공론장이 형성되고, 평가와 준거점을 갖게 되고 현재와 미래에 대한 상상력을 갖게 된다. 시대에 걸쳐 반복해서 재탄생하는 는 과학기술 특히 인공지능기술이 지닌 낯설음과 두려움을 익숙함과 친숙함으로 변형하는 상상적인 힘을 보여준다. 는 시대.. 2025. 4.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