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종중심주의1 AI의 정동, 체현, 감정의 모빌리티- 영화 <그녀>를 중심으로(1/5) [목차]1. 영화 속 인간과 로봇 사이의 긴장 2. 비인간 인공 생명체의 정동의 문제3. AI 정동에서 체현의 문제4. 감정의 모빌리티5. 나가며 로봇은 자연 생명을 모방, 증강하고 나아가 능가하고자 하는 인간의 의지로부터 탄생했다. 이러한 로봇의 기원은 고대 그리스로마 신화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다. 청동 로봇 탈로스와 판도라가 대표적인 예로, 이는 인간의 형상을 한 ‘안드로이드’에 대한 신화 시대의 상상이라 할 수 있다.(1) 중세 시대에는 13세기 독일 철학자 알베르투스 마그누스(Albertus Magnus)가 다양한 금속 재료로 ‘자동인형(automaton)’을 만들었으며, 사람의 형상으로 동작을 구현한다는 의미에서 ‘안드로이드’라고도 불렸다.(2) 17~18세기에 접어들어, 음악을 연주하는 인형,.. 2025. 5. 4. 이전 1 다음